그 병원은 어떻게 초진환자를 2배 늘렸을까? 우리 병원에 딱 맞는 마케팅 전략 김현배
머리말: 잘하는 것 못지않게 잘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PART 1. 왜 우리 병원은 초진환자가 늘지 않을까?
01 초진환자 2배 증가, 꿈이 아니다
02 망하는 병원의 마케팅에는 공통점이 있다
03 환자들은 병원을 어떻게 선택할까?
04 누가 나의 경쟁자인가?
05 우리 병원 마케팅, 잘되고 있는 걸까?
06 비용, 줄이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묻지 말고 "경쟁 병원을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고 물어라
PART 2. 실패하는 병원 은실패하는 마케팅을 한다
01 어디에 광고해야 초진환자가 많이 올까?
02 바이럴마케팅만이 대세라고?
03 환자들은 치료 방법에는 별 관심 없다
04 다 안다는 원장의 착각이 병원을 망친다
05 말 잘 듣는 광고회사는 병원의 적이다
06 병원도 브랜딩이 필요하다
PART 3. 내 병원에 딱 맞는 마케팅을 해야 한다
01 어떤 매체가 효과적일까?
02 동네병원을 살리는 마케팅 키워드는 pull과 push의 중간이다
03 비급여 병원 마케팅1: 서울 중심가 병원
04 비급여 병원 마케팅2: 수도권 외곽과 중소도시 병원
05 급여 병원 마케팅
06 네트워크 병원 마케팅
PART 4. 1등 병원은 어떻게 마케팅할까?
01 환자들에게 어떤 병원으로 보일 것인가 .정확한 진단과 최적의 치료를 약속합니다. 14가지 첨단장비와 10년간 5,000명을 치료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진료합니다.
02 초진환자의 반응을 끌어내는 매체 설계법 검색 경로 1.니즈 2.시술명 3.지역명+시술명 4.병원명 예산은 역순으로 배정 니즈와 시술명 다 잡으면 좋지만 여의치 않으면 최종 단계부터 시작
03 콘텐츠를 잘 짜야 1위 병원이 될 수 있다
04 반드시 환자의 상담을 끌어내는 법
05 진료 아이템, 어떻게 차별화할까?
06 초진환자 유입 2배, 고객이 모이는 곳에 답이 있다 백화점에 갈 때와 시장에 갈 때 고객이 기대하는 바가 다르다
PART 5. 재 진환자를 늘릴 때 마케팅 효율은 배가된다
01 재진환자 2배 늘리기
02 후기와 사진을 활용하라
03 우리 병원을 찾은 환자는 과연 만족할까? 설문에 응하는 것 자체가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다
04 환자가 까다로워진 것이 아니라 시대가 변한 것이다 광고는 비용이기도 하고 투자이기도 하다
05 환자 만족도, 3초면 올릴 수 있다
06 어떻게 상담 성공률을 높일 것인가
PART 6. 3 년간 30개 병원 9배 성장 실전 사례
01 지점 하나에서 3년 만에 15개 지점 네트워크 병원으로
02 1천만 원으로 1억 원의 마케팅 효과 보는 법
03 지역 병원 성공 비결
04 브랜드 플러스 전략으로 2배 성장 모든 산업은 제너럴리스트 빅3와 스페셜리스트 그리고 패자로 나뉜다. 라젠드라 시소디어 [The Rule of Three]
05 블로그 활용으로 살아난 지역 피부과
맺음말: 10년 후, 환자는 병원을 어떻게 고를까 설득 체계 강화, 콘텐츠의 차별화, 관계의 변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